티스토리 뷰

메틸페니데이트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나 기면증(narcolepsy)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중추신경계 각성제입니다. 이 약은 어떤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어떤 효능과 효과를 가지며, 어떻게 복용하고, 어떤 부작용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출처-위키백과 메틸페니데이트
출처-위키백과 메틸페니데이트


메틸페니데이트 성분


메틸페니데이트의 화학식은 C14H19NO2이고, 분자량은 233.311 g/mol입니다. 이 약은 메틸페니데이트 염산염으로 제조되며, 다양한 상품명으로 시판됩니다. 예를 들어, 페니드, 페로스핀, 메디키넷리타드, 콘서타OROS, 메타데이트CD 등이 있습니다. 이 약들은 제형에 따라 속방형, 8시간 지속 서방형, 12시간 지속 서방형 등으로 구분됩니다.

 

메틸페니데이트 약학정보원.pdf
0.26MB

 

메틸페니데이트 효능 효과

출처-위키백과 메틸페니데이트
출처-위키백과 메틸페니데이트


메틸페니데이트는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중추신경계를 자극하는 효과를 가집니다. 이로 인해, 집중력을 증가시키고, 각성을 향상시키고, 행동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메틸페니데이트는 6세 이상의 소아 및 청소년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치료에 사용됩니다. ADHD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충동적 행동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정신과적 질환입니다. 메틸페니데이트는 이러한 증상을 완화하고, 학업, 사회, 가족 등의 기능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또한, 메틸페니데이트는 밤에 수면을 충분히 취했음에도 갑자기 참을 수 없는 졸음이 오는 수면발작에도 사용됩니다. 수면발작은 기면증의 증상 중 하나로, 기면증은 수면 주기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면 장애입니다. 메틸페니데이트는 수면발작을 줄이고, 낮에 졸리지 않게 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메틸페니데이트 복용법

출처-약학정보원
출처-약학정보원


메틸페니데이트의 복용법은 제형에 따라 다릅니다. 속방형 제제는 1일 2회(아침/점심) 식전에 복용하고, 8시간 지속 서방형 제제는 1일 1회 또는 1일 2회(아침/점심) 식사와 함께 또는 식사 후에 복용하고, 12시간 지속 서방형 제제는 1일 1회(아침) 식전에 복용하고, 12시간 지속 서방형 제제는 1일 1회(오전) 식사와 관계없이 복용합니다.

 

용량은 사용 목적,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1일 60 mg을 초과한 용량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서방형 제품은 씹거나 가루로 만들어 복용해서는 안 됩니다. 본문에 언급된 내용 외의 상세한 정보는 제품설명서 또는 제품별 허가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메틸페니데이트 부작용

 

  1. 불면, 불안, 두통, 식욕부진, 체중감소 등
  2. 돌연사, 뇌졸중, 심근경색 등
  3. 환각, 망상, 조증, 공격성, 적대감, 자살경향 등
  4. 성장억제, 발기장애, 피부반응, 시력장애, 발작 등


이러한 부작용은 모든 환자에게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개인차가 있습니다. 부작용이 발생하거나 악화될 경우에는 의사나 약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메틸페니데이트는 ADHD나 기면증을 치료하는 데 유용한 약물입니다. 하지만, 이 약은 중독성이 있으며,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정확하게 복용해야 합니다. 또한, 이 약은 6세 미만의 소아나 심장 문제, 녹내장, 틱장애, MAO 저해제 복용 등의 금기사항이 있는 환자에게는 투여하지 않아야 합니다. 

 

이상으로 메틸페니데이트에 대해 알아봤습니다.더 상세한 내용은 위에 요약 파일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