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독감,감기 호흡기 질환은 겨울철에 흔히 발생하는데요. 질병관리청의 통계에 따르면, 12월 둘째 주에는 1,000명당 61.3명이 독감으로 병원을 찾았다고 합니다.이는 최근 5년간 가장 높은 수치이며,특히 학생들이 많이 걸렸는데요. 소아∙청소년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이나 백일해와 같은 다른 감염병에도 취약 합니다.호흡기 질환 예방에 대해 알아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독감 bing


왜 겨울철에 호흡기 감염병이 많이 발생할까요?


겨울철에 호흡기 감염병이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요,

 

첫째, 날씨가 추워지면서 실내에 있는 시간이 늘어나고, 공기가 건조해지기 때문입니다. 실내에는 바이러스나 세균이 쉽게 번식하고, 건조한 공기는 점막을 약화시켜 감염에 취약하게 만듭니다.

 

둘째, 일교차가 크고 갑자기 추워지는 초겨울에는 면역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면역력이 약해지면 감염병에 걸리기 쉽고, 증상도 심해질 수 있습니다.

 

셋째, 겨울철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활성화되기 때문입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저온과 저습도에서 잘 살아남고, 호흡기 점막을 통해 쉽게 감염됩니다.


겨울철에 호흡기 감염병을 예방법은 간단 한데요.

출처- 독감 bing
출처- 독감 bing


1. 올바른 손씻기를 생활화합시다.


손은 감염병의 주요 전파 경로 중 하나입니다. 손에 달라붙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눈, 코, 입 등으로 들어가면 감염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손을 자주 씻는 것이 중요합니다.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씻어야 합니다. 특히 식사 전후, 화장실 사용 후, 외출 후, 코를 풀거나 기침을 한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합니다.


2. 기침예절을 실천합시다.

출처- 독감 bing
출처- 독감 bing


기침, 재채기, 대화 중에는 바이러스나 세균이 비말로 전파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침할 때는 휴지나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해야 합니다. 기침 후에는 반드시 올바른 손씻기를 해야 합니다. 또한 호흡기 증상이 있을 때는 마스크를 착용해야 합니다. 사용한 휴지나 마스크는 바로 쓰레기통에 버려야 합니다.


3. 실내에서는 자주 환기합시다.


실내에서는 바이러스나 세균이 쌓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하루에 최소 3회, 매회 10분 이상 창문을 열어 자연환기를 해야 합니다. 학교, 유치원, 어린이집, 학원 등 공공시설에서는 출입문과 창문을 동시에 열어 환기를 해야 합니다. 환기를 하면 실내의 공기가 교체되고, 바이러스나 세균의 농도가 낮아집니다.


4.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지 않습니다.

출처- 독감 bing
출처- 독감 bing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면 바이러스나 세균이 호흡기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또한 눈, 코, 입 주변의 피부는 점막이 있어 감염에 취약하므로,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겨울철에는 호흡기 감염병이 쉽게 발생하고, 증상이 심해지기도 하는데요.따라서 호흡기 건강을 위해 예방과 관리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합니다.발열, 기침, 목아픔, 콧물, 가래 등의 호흡기 증상이 있을 때는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감염병의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반응형